본문 바로가기
투자

코인 아비트라지를 알아보다.

by James Lee. 2021. 2. 3.

 

 

아비트라지, Arbitrage, 무위험 차익거래

암호화폐 시장에서 김프/역프가 발생했을 때 아비트라지를 할 수 있다.

 

아비트라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 https://scolkg.com/

- https://kimp.ga/

 

위와 같이 동일한 코인임에도 불구하고 거래소 간 가격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인이 싼 시장에서 매수 후, 코인이 비싼 시장으로 전송해서 비싼 가격에 팔면 리스크는 거의 없고 차익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무위험 차익거래(아비트라지)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 생각보다 김프/역프의 발생 ~ 소멸 텀이 길다. 아비트라지 봇들이 순식간에 다 먹어치우기 때문에 이거 거래하는 분들은 대부분 프로그램을 쓰실 줄 알았는데 그냥 손으로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인 듯하다. 적어도 내가 물어본 분들은 그랬다.

 

아비트라지의 순서를 알아보자.

김프가 꼈다고 가정할 때, 리플을 대상으로 아비트라지를 한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하면 된다.

 

1. 한국 거래소에 입금

2. 한국 거래소에서 리플을 사서

3. 리플을 해외 거래소로 송금

4. 해외 거래소에서 리플을 매도 (USDT)

5. USDT를 외화로 환전

6. 환전된 외화를 한국으로 옮긴다.

 

※ 이때 전송 수수료, 코인의 유동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강환국님은 이런 면에서 리플을 추천)

 

방법은 간단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기 힘들다.

이유인즉슨 해외 거래소에 연동되는 해외 계좌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해외 계좌 개설 시 조건 까다로움)

USDT(테더)를 바로 외화 현금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또다시 바꾼 USDT로 코인을 매수하고, 국내 거래소에 전송하고, KRW 매도를 해야 한다.

그리고 또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외국환거래법 위반 여부이다. - 관련 링크

애매한 조항이긴 한데, 테더를 환전하는 과정에서 외국환거래법 위반이 될 수도 있다. 연간 5천만 원 미만의 금액으로 거래하면 크게 문제 될 것 같지는 않은데, 그럼 기대수익률이 너무 적어지기 때문에 메리트가 없다.. 무한 반복할 수 있어야 메리트가 있는데..

나는 아비트라지가 가능하다면 거래소 API를 이용해 아비트라지를 무한히 실행하는 봇을 개발하려고 했다.

실제로 2018년쯤에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대박을 터뜨린 사람들이 있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1180100036310002241&lcode=00)

 

그런데 지금은 내가 못 찾은 건지도 모르겠는데 쉽지 않아 보인다. (혹은 메리트가 없거나)

그렇다고 그냥 지나치기는 아쉬운 녀석이니 일단 관심사에 올려두고 꾸준히 트래킹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