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2 [투자 상식] 인버스 ETF는 왜 위험할까? (feat. 곱버스) 지난 6월 개인 순매수 1위가 곱버스였다. 지수가 많이 상승하니 수많은 개인들이 하락장에 베팅을 한 것이다. 베팅의 민족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인버스는 엄연한 투자 상품이지만 잘 모르는 상태로 매수를 하다가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해보고자 한다. 인버스 주가가 하락하면 수익을 내도록 설계된 ETF다. 이번 코로나 떡락장에서부터 유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ex) KODEX 인버스 곱버스 인버스의 손익률을 2배 추구하는 ETF다. 인버스 손익률의 2배를 곱하기 때문에 곱버스라는 별칭이 붙었다. ex) KODEX 200 선물인버스 2X 이렇듯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배수로 추종하는 개념을 레버리지라고 한다. (레.. 2020. 9. 13.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 2020년 3월의 어느 날. 매매를 하려고 MTS를 켰는데 호가창이 안 움직인다. 엥? 서킷 브레이커란다. 또? 그게 이렇게 자주 걸리는 거였나? 코로나로 인한 대폭락. 지수가 하루에 10%씩 빠졌다. 정말 이대로 자본주의가 끝나는 건가 싶었다. 그게 벌써 반년 전 이야기다. 언제 그랬냐는 듯 지금 시장은 다시 회복 중이다. 그것도 전고점을 뚫고 대기권을 돌파할 기세로. (미국 기준) 하지만 증시는 떡상 중 실물경제는 폭망 중 .. 여전히 불안하다. 지금까지 여러 금융위기가 있었고, 잘 극복해왔다. 하지만 언론은 이번에는 다르다고 한다. 개미들도 최근 인버스를 최대로 매수했다. (정확히는 인버스가 아니라 무려 곱버스임..) 뭐가 다른 걸까? 코로나는 전염병이기 때문이란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들이 많.. 2020. 8. 31. 이전 1 다음